
안녕하세요! 저도 아이폰 유저라서 매일 출퇴근길에 지갑에서 주섬주섬 실물 카드를 꺼내는 게 얼마나 번거로웠는지 몰라요. '언제쯤 아이폰으로 교통카드를 찍을 수 있을까?' 목 빠지게 기다렸는데, 드디어 2025년 7월 22일, 애플페이 티머니가 공식적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정말 기쁜 소식이지만, 막상 써보려고 하니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들이 있더라고요. 오늘은 그 후끈후끈한 최신 정보를 모두 모아, 장점부터 아쉬운 점까지 싹 다 정리해 드릴게요!
드디어 아이폰으로 찍고 탄다! 애플페이 티머니 공식 출시
네, 맞아요! 이제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교통카드 단말기에 '탭'하기만 하면 버스와 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됐습니다. 2023년 3월 애플페이가 한국에 처음 들어온 지 2년이 넘는 시간 만에 이뤄진, 정말 역사적인 업데이트라고 할 수 있죠. 그동안 삼성페이만 보며 부러워했던 지난날은 이제 안녕이에요.
특히 화면을 켜거나 페이스 아이디, 비밀번호를 누를 필요 없이 바로 결제되는 '익스프레스 모드'는 정말 편리함의 끝판왕이에요. 심지어 아이폰 배터리가 없어서 전원 절약 모드로 바뀌어도 일정 시간 동안은 교통카드 기능이 작동한다고 하니, 방전 걱정도 한시름 덜 수 있겠네요.
어떻게 사용하나요? 등록부터 충전까지 A to Z
사용법은 생각보다 간단해요. 차근차근 따라 해 보세요!
- Apple 지갑 앱 열기: 아이폰에서 '지갑' 앱을 실행하고 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눌러주세요.
- 교통카드 선택: '교통카드' 메뉴를 선택하면 목록에 'Tmoney'가 보일 거예요. 선택하고 계속 진행!
- 금액 충전: 선불 충전 방식으로, 원하는 금액을 충전해야 해요. 이때 애플페이에 등록된 현대카드로 충전할 수 있어요.
- 현대카드가 없다면?: '모바일티머니' 앱을 다운로드하면 다른 신용카드나 계좌이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충전할 수 있으니 걱정 마세요.
애플페이 티머니는 설정한 금액 이하로 잔액이 떨어지면 등록된 카드로 자동 충전되는 기능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어요. 매번 잔액 신경 쓸 필요 없이 정말 편리하겠죠?
'반쪽짜리' 출시? 결정적 단점들
하지만 마냥 장밋빛 미래만 있는 건 아니에요. 많은 사용자들이 아쉬움을 토로하는 몇 가지 치명적인 단점들이 있거든요. 솔직히 말해서 저도 이 부분 때문에 바로 갈아타야 할지 고민이 되더라고요.
가장 큰 이슈는 바로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대중교통비를 최대 53%까지 환급해 주는 K-패스는 이제 필수품인데, 애플페이 티머니는 선불 충전 방식이라 이 혜택을 받을 수 없어요. 매달 상당한 금액을 아낄 기회를 놓치는 셈이죠.
주요 미지원 항목
- K-패스: 대중교통비 환급 혜택 적용 불가
- 기후동행카드: 서울시 무제한 대중교통 카드 사용 불가
- 후불교통카드: 신용카드를 직접 교통카드로 등록하는 방식 미지원 (오직 선불 충전만 가능)
이 때문에 '편의성'과 '경제적 혜택' 사이에서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에요.
결국 당장의 편리함보다는 교통비 절약이 더 중요한 분들에게는 애플페이 티머니가 아직은 매력적인 대안이 아닐 수 있다는 거죠.
그럼에도, 전망은 밝다! 앞으로의 변화는?
이번 출시는 분명 '시작'에 불과해요. 애플과 티머니가 독자 규격까지 적용하며 협업한 만큼, 앞으로 기능 개선의 여지는 충분하다고 봐요.
구분 | 현재 상황 및 전망 |
---|---|
편의성 | 익스프레스 모드, 자동 충전 등 최상의 편의성 제공 |
경제성 (K-패스 등) | 현재 미지원. 하지만 사용자 요구가 큰 만큼, 향후 시스템 연동 방식으로 지원될 가능성 기대. |
결제 방식 | 선불 충전만 가능. 후불교통카드 지원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 |
소비자들의 목소리가 커지면 K-패스나 후불교통카드 지원도 언젠가는 이루어지지 않을까요? 삼성페이와의 본격적인 경쟁 구도가 만들어진 만큼, 앞으로의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해 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애플페이 티머니 출시는 분명 아이폰 유저들에게 큰 선물이에요. 비록 아쉬운 점은 있지만, 이제 시작이니까요! 여러분은 애플페이 티머니,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댓글